안녕하세요. 동국시스템즈 마케팅팀 이빛나입니다.
요즘엔 "왜 Gen12가 벌써 나왔을까? 뭐가 달라졌는데?" 라는 질문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실제 고객 대응이나 세일즈 상황에서도 Gen11과 비교해 어떤점이 진짜 중요한 변화인지 한눈에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설명이 쉽지 않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실제로 바뀐 것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어요. 4월 2일에 있을 Gen12 세미나에 다녀와서 추가적으로 꼭 강조할 부분이 있다면 4월 뉴스레터에서 다시 한 번 정리해볼께요.
✅ CPU 세대 전환 – P-core / E-core 구조로 완전 변화
Gen12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Intel Xeon 6세대의 도입입니다.
기존의 Gold, Silver 같은 네이밍은 이제 사라지고 P-core(성능 중심), E-core(전력 효율 중심)로 구분됩니다.
- P-core (Performance Core) : 고성능 워크로드 처리에 적합하지만 소비 전력이 큼
- E-core (Efficiency Core) : 에너지 효율은 좋지만 성능은 제한적
⚠️ E-core CPU를 사용할 경우, 16GB DIMM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메모리는 최소 32GB 이상부터 구성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64GB DIMM이 성능과 가성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 GPU 구성의 핵심 – DL380a Gen12만 H200 PCIe 장착 가능
GPU 구성 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는 NVIDIA GPU H200 PCIe 타입 장착이 가능한 유일한 모델이 DL380a Gen12라는 점입니다.
- 최대 10개까지 장착 가능 (기본은 8개, iLO7 기반 설계 시 10개)
- 경쟁 모델 대비 GPU 밀도, 전면 NVMe 구성 등에서 우위
DL380a는 AI/ML, 고밀도 GPU가 필요한 워크로드에서 중심 서버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GPU 밀도란? 한정된 공간 안에 얼마나 많은 GPU를 넣을 수 있는가를 말해요. 즉, 서버나 데이터센터 안에 GPU가 얼마나 꽉 차게 들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에요.
🔍 DL380a Gen12 요점 정리

- PCIe 슬롯이 총 6개 이며, 4DW 또는 8DW GPU가 장착될 경우 맨 위 왼쪽/오른쪽 슬롯은 물리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제로는 최대 4개의 Slot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전면 NVMe 기반 구성
- GPU 10DW에 ILO7으로 구성을 고려할 경우, 기존 샷시가 아닌 하기 신규 SKU인 P76706-B21로 구성해야 합니다.

- Multi-purpose Cage & Front IO 구성으로 유연한 슬롯 확장이 가능해짐
- 최대 5개의 박스 구성 (2SFF 또는 4EDSFF)
- USB 3.2 및 Type-C 포트 탑재
- 전면 OCP NIC 슬롯 지원 (Primary / Secondary)
🔍 DL380a Gen12 에는 왜 GPU가 장착이 안 되나요?
이 모델은 이름만 보면 DL380a랑 비슷해 보이지만, GPU는 아예 장착이 안 됩니다.
왜냐하면 GPU를 장착하려면 전원 설계(파워 버짓)나 PCI 슬롯 배치가 그에 맞게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일반 DL380 Gen12는 그게 빠져 있어요. 그래서 만약 GPU 워크로드, 특히 H100이나 H200 같은 고성능 GPU를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DL380a Gen12로 구성해야 합니다. HPE에서도 이 부분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어서, GPU를 쓰겠다면 처음부터 DL380a 모델로 계획 잡으셔야 해요.
🔍 Gen12의 Smart Chassis: OCA Intelligence
Gen12에서는 'OCA (Option Configuration Architecture)' 기반의 Smart Chassis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적용하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이 훨씬 올라가고, 실수 없이 정확한 SKU 구성이 가능해집니다.
스토리지 백플레인(Storage Backplane)과 컨트롤러 케이블 키트(Controller Cable Kits)를 자동으로 선택해주는 기능입니다. 시스템이 Smart Chassis ID 번호를 인식하면, 구성에 필요한 케이블 키트들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구성 순서 요약
먼저, 시스템이 설치될 장소의 온도를 골라주세요.
– 잘 모르겠다면 30°C로 설정하시면 무난합니다.
필요한 드라이브 케이지를 선택해 주세요.
– 어떤 스토리지를 얼마나 넣을지에 따라 케이지 종류가 달라져요.
Riser Card를 추가해 주세요.
– GPU나 NIC 확장을 위해 필요한 카드고, 케이블도 함께 선택하시면 됩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선택해주세요.
– MR Gen11 시리즈 중에서 필요한 성능에 맞는 컨트롤러를 골라주시면 돼요.
8SFF x4 케이지를 연결할 계획이 있다면, 해당 연결도 함께 지정해 주세요.
위까지 모두 골랐다면, Smart Chassis 구성이 자동으로 제안돼요.
–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구성을 보고, 수량을 1개로 선택해 주세요.
구성이 끝나면 이제 Shared Options 메뉴로 이동하여 추가 옵션들을 확인하거나 마무리 설정을 할 수 있답니다.
필요한 구성요소만 똑똑하게 알아서 챙겨주는 Smart Chassis로 실수 없이 정확한 구성을 해보세요.
📌 Tip
🧠 서버 세대별 핵심 비교 요약

마치며,
Gen12는 단순한 성능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플랫폼과 아키텍처 구조 자체가 바뀐 세대입니다. 특히 DL380a는 GPU 밀도, 확장성, 최신 H200 대응력 등에서 Gen12 세대의 전략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고객 상담이나 제안서에 Gen12를 포함할 기회가 생긴다면, 오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서 자신 있게 설명해보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동국시스템즈 마케팅팀 이빛나입니다.
요즘엔 "왜 Gen12가 벌써 나왔을까? 뭐가 달라졌는데?" 라는 질문을 정말 많이 받습니다.
실제 고객 대응이나 세일즈 상황에서도 Gen11과 비교해 어떤점이 진짜 중요한 변화인지 한눈에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설명이 쉽지 않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실제로 바뀐 것들' 위주로 정리해보았어요. 4월 2일에 있을 Gen12 세미나에 다녀와서 추가적으로 꼭 강조할 부분이 있다면 4월 뉴스레터에서 다시 한 번 정리해볼께요.
✅ CPU 세대 전환 – P-core / E-core 구조로 완전 변화
Gen12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Intel Xeon 6세대의 도입입니다.
기존의 Gold, Silver 같은 네이밍은 이제 사라지고 P-core(성능 중심), E-core(전력 효율 중심)로 구분됩니다.
⚠️ E-core CPU를 사용할 경우, 16GB DIMM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메모리는 최소 32GB 이상부터 구성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64GB DIMM이 성능과 가성비를 고려했을 때 가장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 GPU 구성의 핵심 – DL380a Gen12만 H200 PCIe 장착 가능
GPU 구성 시 가장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는 NVIDIA GPU H200 PCIe 타입 장착이 가능한 유일한 모델이 DL380a Gen12라는 점입니다.
DL380a는 AI/ML, 고밀도 GPU가 필요한 워크로드에서 중심 서버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GPU 밀도란? 한정된 공간 안에 얼마나 많은 GPU를 넣을 수 있는가를 말해요. 즉, 서버나 데이터센터 안에 GPU가 얼마나 꽉 차게 들어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이에요.
🔍 DL380a Gen12 요점 정리
🔍 DL380a Gen12 에는 왜 GPU가 장착이 안 되나요?
이 모델은 이름만 보면 DL380a랑 비슷해 보이지만, GPU는 아예 장착이 안 됩니다.
왜냐하면 GPU를 장착하려면 전원 설계(파워 버짓)나 PCI 슬롯 배치가 그에 맞게 되어 있어야 하는데, 일반 DL380 Gen12는 그게 빠져 있어요. 그래서 만약 GPU 워크로드, 특히 H100이나 H200 같은 고성능 GPU를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DL380a Gen12로 구성해야 합니다. HPE에서도 이 부분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어서, GPU를 쓰겠다면 처음부터 DL380a 모델로 계획 잡으셔야 해요.
🔍 Gen12의 Smart Chassis: OCA Intelligence
Gen12에서는 'OCA (Option Configuration Architecture)' 기반의 Smart Chassis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기능을 적용하면 시스템 구성의 유연성이 훨씬 올라가고, 실수 없이 정확한 SKU 구성이 가능해집니다.
스토리지 백플레인(Storage Backplane)과 컨트롤러 케이블 키트(Controller Cable Kits)를 자동으로 선택해주는 기능입니다. 시스템이 Smart Chassis ID 번호를 인식하면, 구성에 필요한 케이블 키트들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 구성 순서 요약
먼저, 시스템이 설치될 장소의 온도를 골라주세요.
– 잘 모르겠다면 30°C로 설정하시면 무난합니다.
필요한 드라이브 케이지를 선택해 주세요.
– 어떤 스토리지를 얼마나 넣을지에 따라 케이지 종류가 달라져요.
Riser Card를 추가해 주세요.
– GPU나 NIC 확장을 위해 필요한 카드고, 케이블도 함께 선택하시면 됩니다.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선택해주세요.
– MR Gen11 시리즈 중에서 필요한 성능에 맞는 컨트롤러를 골라주시면 돼요.
8SFF x4 케이지를 연결할 계획이 있다면, 해당 연결도 함께 지정해 주세요.
위까지 모두 골랐다면, Smart Chassis 구성이 자동으로 제안돼요.
–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구성을 보고, 수량을 1개로 선택해 주세요.
구성이 끝나면 이제 Shared Options 메뉴로 이동하여 추가 옵션들을 확인하거나 마무리 설정을 할 수 있답니다.
필요한 구성요소만 똑똑하게 알아서 챙겨주는 Smart Chassis로 실수 없이 정확한 구성을 해보세요.
📌 Tip
DL380a는 NVMe 한정이지만, DL385는 NVMe + SATA 구성도 가능
GPU 장착 수량은 CPU 및 디스크 케이지 구성에 따라 달라짐
🧠 서버 세대별 핵심 비교 요약
마치며,
Gen12는 단순한 성능 업그레이드가 아니라 플랫폼과 아키텍처 구조 자체가 바뀐 세대입니다. 특히 DL380a는 GPU 밀도, 확장성, 최신 H200 대응력 등에서 Gen12 세대의 전략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고객 상담이나 제안서에 Gen12를 포함할 기회가 생긴다면, 오늘 정리한 내용을 참고해서 자신 있게 설명해보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